■ 진행 : 나경철 앵커, 유다원 앵커
■ 출연 :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굿모닝 와이티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경제 소식을 빠르고 친절하게 전달해 드립니다. 오늘 굿모닝 경제는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과 함께하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먼저 해외증시 상황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뉴욕 증시가 소비자물가지수 발표를 앞두고 상승 마감을 하긴 했는데. 이 상승폭이 크게 둔화할 것이다, 이런 전망이죠?
[이인철]
맞습니다. 사실 이렇게 빅이벤트를 앞두면 경계심에 조금 관망하는 모습을 보이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승 폭이 장 후반 갈수록 더 커졌다. 이 얘기는 시장의 심리가 그만큼 긍정적이다라는 거예요.
한 가지 지표가 발표되면 긍정적인 측면이 있고 부정적인 측면이 있을 수 있는데 내일 12일에 발표될 소비자물가지수는 연준의 통화정책에 그대로 반영하는 주요 지표이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나오지 않겠느냐, 이걸 선반영한 겁니다.
그러니까 선반영했다는 얘기는 내일 만에 하나 CPI가 예상치보다도 조금 좋지 않게 나왔다, 물가상승률이 기대했던 것보다 웃돈다라고 하면 특히나 에너지, 식음료를 제외한 핵심 물가지수를 많이 보게 되는데. 그러면 시장은 또 반전될 수도 있거든요.
그런데 분위기는 나빠 보이지 않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76%나 뛰었어요. 호재거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당장 12월 CPI 전망치를 보게 되면 아마 제가 이번 주 초에 뭐라고 말씀드렸냐면 12월 CPI는 11월의 7.1% 상승부터도 둔화돼서 0.5% 둔화돼서 6.6이라고 얘기했는데 기대치가 더 낮아졌어요.
6.5%까지 낮아질 수 있다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고 가장 중요한 게 이렇게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음료를 제외한 근원CPI인데 근원 CPI는 해석하기에 따라서 호재냐 악재냐 판가름이 엇갈리는데. 1년 전과 비교하면 12월은 5.7% 정도 올라서 11월의 6%보다는 상승폭이 둔화되는 건 맞지만 그러나 전월 대비를 보게 되면 전월 대비 상승률은 0.3% 올라서 11월의 0.2%보다 상승 폭이 오히려 더 커져요.
그러면 시장에서 분위기가 안 좋다라고 하면 후자 쪽에 더 무게를 두거든요. 그런데 지금 시장이 전자 쪽에, 좋은 것만 보고 있는 거예요. 그런 분위기...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112073644493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